치과 임플란트는 요즘 광고를 보니 아무 치과에서나 하는 아주 간단한 치료중의 하나 같은데 왜 그렇게 비싼건가요?
오늘은 경험이 아무리 많은 치과의사라 하더라도 치료하기 까다롭고 예후 또한 명쾌하게 보장하기 힘든 치과치료중의 하나인 임플란트를 예로 들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우선 임플란트의 성공률은 위턱(상악)과 아래턱(하악)에 있어서 현저하게 차이가 납니다.
치과 학술회지의 보고에 의하면 상악의 경우는 성공률이 80% 내외, 하악은 90% 내외로 되어있습니다.
반면에 틀니의 경우 일반인인 생각하는 것과는 반대로 상악이 하악보다 더 편안하고 예후가 좋은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상악의 경우 뼈의 양과 골질이 불량하고 여러가지 부가적인 수술이 들어가서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머나먼 여정이 예상된다면, 전통적인 방법인 브릿지나, 통상적인 틀니로 해결하는것도 그리 나쁜 방법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전체가 아닌 몇개의 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로케이터(Locator)라는 장치나, 혹은 자석이나 , 오링(O-Ring)으로 연결하는 임플란트 의지형 완전틀니( Implant Supported Denture ) 역시 하악에 비해 상악의 불리한 임플란트의 여건때문에 하악에서는 2-4개의 임플란트로 충분하지만 상악의 경우는 4-6개의 임플란트가 필요합니다.
상악(윗니) 어금니의 경우 많은 경우에 있어서 상악동이라고 하는 공기로 가득찬 공간이 있어서, 이곳은 우리가 숨쉴때 공기가 통하는 곳 , 뼈의 양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많아, 상악동거상술이라는 부가적인 뼈이식수술이 필요한데, 이식된 뼈라 하더라도 수십년동안 자기몸속에서 단단하게 굳어진 자기의 뼈에 비해 약할수 밖에 없습니다.
상악 앞니나 하악 앞니의 경우, 임플란트를 심기에 뼈의 폭이 좁아, 부가적인 뼈이식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그리고 미관적으로 좋은 결과가 나오기 위해 결합조직이식 등 여러 부가적인 수술을 동반하여 최선을 다하지만, 이 역시 완벽을 기대하긴 힘듭니다.
하악 어금니의 경우, 하악치조신경관이 바로 아래에 지나가는데 이 해부학적 구조물을 건드리지 않고 임플란트를 식립하여야만 감각이상등의 신경손상을 막을수 있습니다.
임플란트를 심기에 뼈의 폭이 부족한 경우 때때로 릿지 스플릿(Ridge Split)이라고 하여 뼈를 쪼개서 쪼개진 틈사이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고난이도의 수술을 하게되는데, 골질이 비교적 덜단단한 상악에 비해 , 하악의 경우 골질이 얇고 단단하여 부스러지기 쉬우므로 이런 술식이 매우 까다롭게됩니다.
뼈이식수술을 하는 경우 상악에 비해 하악골은 피질골이 많으므로 혈액공급이 원활지 못하기 때문에 골이식재가 완벽히 뼈로 치환되기는 힘듭니다.
이렇듯 임플란트를 어느부위에 식립하는지, 식립될 부위의 뼈와 연조직의 양과 질, 환자분의 전신적인 건강상태, 환자마다 다다른 요구사항 등등 수많은 사항들을 고려하여 치과의사는 임플란트를 하나 하나 식립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대충 뚝딱 박아넣는 것이 아닌 단 한개의 임플란트 수술도 결코 같은 임플란트가 될수 없는 나만의 맞춤 임플란트가 되는 것입니다.
임플란트 치아는 상실한 자연치아를 대치하는 가장 우수한 방법중의 하나이지만 원래 부모님으로 부터 물려받은 자연치아보다는 못하므로 평소의 구강건강관리를 철저히 하여 소중한 내 치아를 오래 보존하도록 하여야 겠습니다.